고양도시관리공사 무기계약 근로자들 파업 돌입

  • 등록 2019.06.27 18:42:15
크게보기

업무공백 불가피,,,시민들편 이어질 듯...

고양시 산하 고양도시관리공사의 무기계약 근로자들이 최저임금 수준의 낮은 임금 등에 무기한 파업에 돌입하면서 시민들의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현업직 근로자들 일부가 파업에 돌입한 상태지만 향후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업무 공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7일 고양도시관리공사 등에 따르면 장애인 콜택시 운전기사와 주차관리, 시설관리, 환경미화원 등이 포함된 현업직 215명은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단계적 파업에 돌입했다.


공동투쟁본부(공투본)는 "현업직들의 임금과 복지 수준이 일반직에 비해 50%에도 못미치는 데다 경기도 내 지방공기업 중 유일하게 직군통합 및 임금체계를 변경하지 않은 공기업"이라며 "15년 차 현업직 기본급은 165만 원인데 반해 같은 연차의 일반직 400만 원이 넘어 차이가 극명하다"고 주장했다.


공투본은 무기계약직 전환 이후 최초 입사자의 기본급을 108만 원으로 정한 뒤 상여금을 업무수당으로 바꾸는 등 편법을 사용해 최저임금법을 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공사 노사는 지난해 12월께 경기도지방노동위 중재를 거쳐 임금체계 개편을 위한 T/F팀을 구성해 중재에 나섰지만 이마저도 총액인건비 문제 등으로 결렬됐다.


이들이 파업에 나서면서 장애인들이나 요양원 환자들이 이용하는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업무도 차질을 빚고 있다.


이에 공사 측은 "지난해 임금기준 일반 7급 대비 현업직의 임금차이를 비교해 보면 1년차 87%, 5년차 83%, 10년차 80% 수준에 불과하다"며 "2017년 고정급을 비교해도 1년차 기준 차이가 22만 원 수준이며 15년차 기준으로 82만 원 가량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 "위탁업체 대비 기본급 20만원이 낮은 것은 사실이나 업무수당 등 각종 수당 및 복리후생비 등을 종합하면 오히려 연간 1천만 원 정도 임금이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파업으로 인한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 하는 한편 협의를 통해 현업직 임금을 인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공투본 신경섭 공동위원장은 "공사가 해명한 자료는 임금의 차이에 대한 것 뿐이지 공투본이 주장하는 차별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직군통합 및 임금체계 변경에 대한 내용은 없다"며 "공사의 입장이 이런 식이라면 파업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김성훈 기자 hoondasom@naver.com
Copyright @2019 경기뉴스앤이슈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경기뉴스앤이슈 | 등록번호 : 경기,아52150 ㅣ 등록일 :2019년 4월 5일 ㅣ 의정부시 장곡로 598 월드프라자 505호 발행인, 편집인 : 홍현지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홍현지 ㅣ 전화번호 : 031-853-3739 Copyright ©2019 경기뉴스앤이슈. All rights reserved.